컴퓨터에서의 정수표현 (부호있는 정수, 2의 보수)
컴퓨터에서는 정수, 실수, 문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를 어떻게 표현하는가? 오늘은 컴퓨터 내부의 데이터 표현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무수히 많은 문자, 이미지, 소리, 영상... 어떻게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고, 어떻게 우리에게 보여줄 수 있는걸까? 컴퓨터 내부의 데이터 표현.. 덜컥 말이 어렵지만, 풀어서 잘 생각해보면 너무나 궁금한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에서 '정수'를 표현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진법 변환에 대해 알고 있다면, 해당 포스팅을 이해하기 더 쉽다. 정수표현 우선 이 두가지로 구분하면서 시작하자. 부호없는 정수(Unsigned integer) , 부호있는 정수(signed integer). 부호 없는 정수는 말 그대로 부호 -나 +가 존..
2021. 7. 20.
가상메모리,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페이지교체 알고리즘
가상메모리,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페이지교체 알고리즘 # 가상메모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주기억장치로 들어가야 하는데, 실행될 프로그램이 주기억장치보다 크거나 여러개인 경우에는 주기억장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저번 포스팅의 외부단편화, 내부단편화)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당장 실행에 필요한 부분만 우선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서 (나머지는 보조기억 장치에 두고 동작하도록 해서) 하나뿐인 컴퓨터 시스탬 내의 자원들을 여러개의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하고자 하는 방법! 즉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닌 가상의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에서 흔히 사용되며, 실제 주기억장치보다 큰 메모리 영역을 제공한다..
2021. 7. 20.
OS, 스케쥴링 알고리즘
OS, 스케쥴링 알고리즘 1. OS (운영체제) 가 하는 일 : CPU, 그리고 메모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 파일관리, 메모리 관리, 작업관리 를 한다. 자세히 말하자면 CPU에게 무슨 작업을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작업관리, 메모리의 자원관리. 주기억 장치(메인메모리)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하고, 보조기억 장치는 많은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게 해야한다. 2-1. OS의 종류 (by 사용자) Single-user, Multi-user 그리고 Real time, embedded 가 있다. Single-user는 말 그대로 윈도우 95와 같은 개인 사용자 OS, Multi-user는 다중 사용자. (윈도우 XP) 이 경우 아이디, 패스워드, 권한 부여와 같은 사용자 관리가 필요하다. 쉽게 말해..
2021.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