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메모리,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페이지교체 알고리즘
가상메모리,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페이지교체 알고리즘 # 가상메모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주기억장치로 들어가야 하는데, 실행될 프로그램이 주기억장치보다 크거나 여러개인 경우에는 주기억장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저번 포스팅의 외부단편화, 내부단편화)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당장 실행에 필요한 부분만 우선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서 (나머지는 보조기억 장치에 두고 동작하도록 해서) 하나뿐인 컴퓨터 시스탬 내의 자원들을 여러개의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하고자 하는 방법! 즉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닌 가상의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에서 흔히 사용되며, 실제 주기억장치보다 큰 메모리 영역을 제공한다..
2021.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