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

Elasticsearch란? 개요와 ELK 스택

by 비타민찌 2025. 9. 16.
728x90

Elasticsearch란? (개요와 ELK 스택)

최근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빠르게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주 언급되는 검색 엔진이 바로 Elasticsearch(엘라스틱서치) 입니다.

 

 

🔎 1. Elasticsearch란 무엇인가?

Elasticsearch는 Apache Lucene(아파치 루씬) 기반으로 만들어진 Java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입니다.
특징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거의 실시간(NRT, Near Real Time) 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 단순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검색과 분석에 특화된 엔진
  •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로그, 문서, 트랜잭션 등) 도 처리 가능
  • 분산 방식으로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고 자동으로 관리

즉, 빅데이터 시대의 검색기 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2. ELK 스택에서의 Elasticsearch

ELK 스택

 

많은 분들이 ELK 스택과 함께 Elasticsearch를 접하곤 합니다.
ELK 스택이란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세 가지 오픈소스 도구를 묶어 부르는 용어예요.

  • Logstash: 다양한 데이터(로그, 트랜잭션 등)를 수집·집계·파싱
  • Elasticsearch: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검색·분석
  • Kibana: Elasticsearch 데이터를 시각화 및 모니터링

즉, ELK 스택에서 Elasticsearch는 데이터 분석과 저장의 핵심 엔진 역할을 합니다.

예시) 서버 로그 데이터를 Logstash로 수집 → Elasticsearch에 저장 → Kibana 대시보드로 시각화

 

ELK 스택

 

현업에서는 주로 이렇게 쓰이고 있습니다.

 

3. 단독으로도 사용되는 Elasticsearch

ELK 스택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Elasticsearch는 단독으로도 많이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 사이트 검색 엔진 → 대형 쇼핑몰에서 상품 검색
  • 로그 분석 도구 → 시스템 장애 원인 추적
  • 데이터 분석 플랫폼 → 비정형 데이터 탐색 및 집계

즉, Elasticsearch는 검색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의 기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정리

  • Elasticsearch = 분산 검색 및 분석 엔진
  • 특징 = NRT(준실시간) + 분산 구조 + 정형/비정형 데이터 처리
  • ELK 스택에서 데이터 저장·검색·분석 담당
  • 단독으로도 검색/로그 분석/데이터 분석에 널리 사용

 

다음 편에서는 Elasticsearch와 RDB 비교 를 다루면서, 기존 데이터베이스와 어떤 점이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ghdalswl77/222996246061

https://blog.naver.com/ghdalswl77/222284667945

728x90

댓글